전체 글80 웬디와 루시에서의 빈곤과 소외 그리고 미국의 그림자 켈리 라이카트 감독의 웬디와 루시는 양극화가 심화된 미국의 현실을 배경으로 한 영화입니다. 2008년 미국 금융 위기 이후 개봉한 이 영화는 일자리를 찾아 알래스카로 떠나는 젊은 여성 웬디와 사랑하는 반려견 루시가 동행하는 이야기를 다룹니다. 언뜻 보기에 웬디와 루시는 반려견을 잃은 여성에 대한 단순한 이야기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이야기 아래에는 빈곤과 외로움의 악순환 속에서 개인을 가두는 시스템에 대한 강력한 비판이 담겨 있습니다. 웬디의 여정을 통해 라이카트 감독은 불평등, 제도적 무관심, 사각지대에 놓인 사람들의 절망으로 형성된 우리가 자주 보지 못하는 미국을 조명합니다. 웬디와 루시: 빈곤웬디와 루시는 처음부터 경제적 취약성에 대한 극명한 그림을 보여줍니다. 그녀의 차는 유일한 쉼터이.. 2025. 7. 11. [콜 미 바이 유어 네임] 감정적 혼란과 성장 루카 구아다니노 감독의 '콜 미 바이 유어 네임'은 햇볕에 젖은 1983년의 북부 이탈리아를 배경으로 여름 로맨스가 아니라 첫사랑, 성 정체성을 담은 영화입니다. 안드레 애치먼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이 영화는 17세 소년 엘리오와 자신감 넘치는 24세 청년 올리버가 덧없지만 잊을 수 없는 로맨스를 시작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이 영화가 사랑을 받은 이유는 처음으로 사랑을 발견하는 데 따르는 기쁨, 혼란, 상심을 정체성을 떠나 공감되게 묘사한 점입니다. 콜 미 바이 유어 네임: 첫사랑엘리오가 올리버를 만나는 순간부터 미묘하고 여운이 남으며 불확실성으로 가득 찬 부인할 수 없는 긴장감이 느껴집니다. 첫사랑은 '콜 미 바이 유어 네임'에서 표현하듯이 눈빛과 침묵, 일상의 작은 행동을 통해 서서히 스며듭니.. 2025. 7. 9. 바닷마을 다이어리 속 유대감과 치유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바닷마을 다이어리"(2015)는 가족 치유와 여성들 사이에 형성되는 깊은 유대감에 대한 감정적으로 풍부한 작품입니다. 요시다 아키미의 만화 바닷마을 다이어리를 원작으로 한 이 영화는 세 명의 자매인 사치, 요시노, 치카가 아버지의 장례식 후 카마쿠라 해변 마을에서 10대 이복 여동생 스즈를 어떻게 포용하는지를 기록합니다. 고레에다 감독은 신뢰를 쌓고 희망을 밝히며 상처받은 마음을 부드럽게 치유하는 일상적인 순간들에 초점을 맞춰 섬세하게 그려냅니다. 바닷마을 다이어리'바닷마을 다이어리'의 감정적 핵심은 아버지의 빈자리에 대한 자매들의 공통적인 반응에 있습니다. 아버지가 재혼하고 떠난 후 곧 어머니도 맏이인 사치에게 집안을 떠넘기고 집을 나갑니다. 사치는 대부분의 가장 역할을 조용.. 2025. 7. 4. 더 나은 미래와 정체성, 미나리 리 아이작 정이 각본과 감독을 맡은 미나리(2020)는 1980년대 미국 시골 한인 이민자들의 눈을 통해 본 가족, 희생, 아메리칸 드림에 대한 지극히 개인적인 이야기입니다. 아칸소의 농지를 배경으로 한 이야기는 제이콥 이와 그의 가족이 도시 생활을 뒤로하고 농장을 건설하려는 제이콥의 꿈을 추구하는 과정을 다룹니다. 영화에서 미나리는 가족 간의 사랑, 강한 생명력과 적응력, 희망과 미래, 삶의 의미를 상징합니다. 미나리는 아메리칸 드림을 즉각적인 성공이 아니라, 다음 세대에게 의미 있는 무언가를 물려줄 기회로 표현합니다. 이 씨 가족의 여정은 기회는 있으나 확신이 없는 땅에 끊임없이 노력한 많은 이민자 가족들에게 전달됩니다. 더 나은 미래를 향해스티븐 연이 연기한 제이콥 이는 가족을 위해 더 나은 미래를.. 2025. 6. 22. 이전 1 2 3 4 ··· 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