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영화의 영역에서 1987년만큼 역사적 봉기 속 개인의 감정적 복잡성을 훌륭하게 담아낸 영화는 드뭅니다. 장준환 감독이 연출한 이 영화는 학생 운동가 박종철의 죽음과 이후 6월 항쟁을 둘러싼 사건들을 이야기합니다. 표면적으로는 체제 부패와 집단 저항에 관한 이야기이지만, 1987년의 심장부는 삶을 바꾸는 선택을 하는 개인을 묘사하는 데 가장 큰 역할을 합니다. 영화는 최환 검사, 교도관 한병용, 학생 연희의 캐릭터를 통해 한국의 6월 민주항쟁을 정의한 광범위한 사회적 각성을 반영합니다.
1987: 양심의 톱니바퀴, 최환: 정의를 선택한 검사
하정우가 연기한 최환은 영화 초반에는 권위주의 체제 안에서 형식과 절차에 충실하고 이상주의적 신념이나 사회 정의에 대한 적극적인 개입보다는 법과 질서에 따르는 일종의 톱니바퀴와 같은 인물로 등장합니다. 경찰 구금 중 숨진 학생 박종철 사건이 그에게 전달되었을 때 체제의 요구에 따라 빠른 은폐에 동조할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최환의 내면에는 정의감과 도덕적 양심이 살아 있습니다. 부검을 강행하고 피해자 학생의 이름을 공식적으로 문서에 기록하며 시신의 화장을 지연시키기로 한 결정은 영화 속에서 커다란 첫 번째 불꽃이 됩니다. 그의 변화는 독재 정권이라는 역사적 맥락에서 볼 때, 큰 의미를 지니는데 단순한 절차적 조치가 아닌, 체제의 거대한 거짓에 균열을 내는 상징적인 행동입니다. 최환의 선택은 양심과 상식, 그리고 인간의 도리에 따른 것입니다. 법을 사용하면서도 그것을 권력의 도구가 아닌 정의의 수단으로 사용하며, 영화 속에서 특히나 인상 깊고 강렬하게 다가옵니다. 대중의 주목을 받는 영웅은 아니지만, 그의 용기 있는 선택은 언론인, 학생, 일용직 노동자 등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에게 용기를 불어넣고 행동을 부추깁니다. “내가 저 자리에 있었다면 어떤 선택을 했을 것인가?” 최환의 이야기는 결국 한 개인의 작고도 단호한 결정이 얼마나 큰 파장을 일으킬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강력한 증거이며, 영화 속에서 변화의 첫 단추를 끼운 인물로 기억됩니다.
진실을 지킨 교도관, 한병용이 남긴 양심
최환이 법조계 내부의 저항을 대변한다면, 유해진이 연기한 한병용은 서민들의 도덕적 각성을 구체화합니다. 8급 교도관인 한병용은 처음에는 어떤 정치적 투쟁보다는 자신의 일자리를 지키고 아픈 아내를 돌보는 데 더 관심을 보이며 무관심한 모습을 보입니다. 언뜻 보기에 이념이나 반란을 가진 사람이 아니라 체제 내에서 조용하고 문제없이 생존하고 싶은 사람입니다. 하지만 미묘한 변화 속에서 박종철의 죽음을 둘러싼 숨겨진 진실을 알리는데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한 명이 됩니다. 한 씨의 변화는 공식 진술의 모순된 이야기, 수감자들 간의 밀담, 제대로 자리 잡지 못하는 암호화된 메시지 교류 등 조용한 관찰에서 시작됩니다. 그 안에서 현 체제에 대한 의심의 씨앗이 자라기 시작합니다. 그의 관점을 바꾸기 시작한 것은 교리나 정치가 아니라 학생 수감자들과 형성한 정서적 유대감입니다. 영화는 공감이 어떻게 무관심을 부식하는지 세심하게 보여줍니다. 학생들의 이상주의와 취약성을 목격하면서 중립을 지킬 수 없게 됩니다. 불의에 직면한 침묵이 공모라는 것을 깨달은 한 씨는 모든 것을 걸고 윤상삼 기자에게 정보를 넘깁니다. 그의 행동은 이념에 뿌리를 둔 것이 아닌 인간의 존엄성, 즉 옳고 그름에 대한 깊은 인식과 감옥에서 진실이 조용히 죽어가도록 버려두지 않겠다는 마음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한 씨의 용기는 평범함에 있습니다. 그는 저항하거나 항의하는 부분에 익숙하지 않았고, 벌을 받을까 봐, 직장을 잃을까 봐, 붙잡히면 아내에게 무슨 일이 일어날지 두려움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잠재적인 처벌 앞에서도 불구하고 진실을 선택합니다. 한병용은 변화가 지도자나 지식인뿐만 아니라 자신과 같은 사람들의 양심에 달려 있음을 상기시켜줍니다. 한 씨의 용기는 저항이 매우 개인적일 수 있으며, 때로는 가장 혁명적인 행동은 단순히 옳은 일을 선택한 사람들에 의해 고독하게 수행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연희의 변화, 방관자에서 주체로의 전환
1987에서 김태리가 연기한 연희는 정권의 부당함과 이에 저항하는 선택이 옳다는 것은 알고 있지만, 애써 침묵으로 일관하는 대학생입니다. 삼촌은 한병용으로, 삼촌이 하는 일을 못마땅해하며 투덜거리고, 말다툼하며 갈등을 빚습니다. 연희는 영화 속에서 변화를 가장 개인적이고 감정적으로 표현한 캐릭터입니다. 그녀의 변화는 이데올로기가 아니라 개인적인 데서 촉발됩니다. 주변 사람들이 체포되고 고문을 당하자 연희는 오랫동안 무시해 온 잔인한 현실 속으로 끌려 들어갑니다. 삼촌이 진실을 밝히는 데 있어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채고 방관과 침묵이 도덕적으로 더는 지속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영화는 연희의 각성이 즉각적이지 않고 사람들의 울음소리, 시위에 참여한 동기들의 처절한 모습, 다른 사람들이 고통받는 동안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는 죄책감을 통해 보여줍니다. 영화가 끝날 무렵 연희는 시위에 참여하고 군중 속에 함께 서게 됩니다. 마지막 장면에서 연희의 존재감은 고요하지만 의미심장하며, 수동적인 방관자에서 능동적인 변화의 주체로 완전히 전환했음을 상징합니다. 집단적 변혁을 향한 첫걸음은 개인적인 결단에서 시작되기도 합니다. 연희의 이야기는 당시 두려움과 책임 사이에서 사람들이 외면하지 않고 맞서 싸웠기에 진정한 변화가 시작됐다고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