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지쿠마르 히라니 감독의 2009년 발리우드 영화 '세 얼간이 '는 세 명의 공대생이 대학 생활을 헤쳐나가는 과정을 그린 코미디 드라마 작품입니다. 영화의 핵심은 창의성과 진정한 이해보다 암기 학습을 우선시하는 경직되고 압박 중심의 교육 시스템에 대한 강력한 비판을 담고 있습니다.
영화 세 얼간이: 기존 교육 시스템을 향한 비판
세 얼간이에서 가장 눈에 띄는 비판 중 하나는 개념적 이해보다 암기에 중점을 둔다는 점입니다. 이 영화는 학생들이 개념을 이해하기보다는 교과서를 암기해야 하는 현실적인 학습 환경을 반영하여 임페리얼 공대(Imperial College of Engineering, ICE)를 진정한 지식보다 성적을 중시하는 대학교로 묘사합니다. '소음기'라고도 불리는 차투르 라말링감의 캐릭터는 이러한 결함 있는 시스템을 잘 보여줍니다. 차투르는 학문적 성공이 맹목적으로 지시를 따르는 것과 같다고 믿으며 이해 없이 정보를 수집하고 암기하는 전형적인 학생을 대표합니다. 반면 주인공 란초다스 샤말다스 찬차드는 호기심, 질문, 실용적인 적용이 진정한 학습과 어떻게 관련이 있는지 보여줌으로써 기존에 가르치던 접근 방식에 반기를 듭니다. 수업 장면에서 기계에 대한 그의 즉흥적인 정의는 이해와 암기의 극명한 대조를 강조하며 보다 효과적인 학습 방법론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또한, 세 얼간이는 학생들이 시험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기 위해 가해지는 엄청난 압박, 종종 정신적, 정서적 안녕을 희생해야 한다고 비판합니다. 조이 로보의 비극적 자살은 개인의 열정과 창의성보다 결과를 우선시하는 시스템의 결과를 가슴 아프게 상기시켜 줍니다. 영화 속에서 이 사건은 학업 스트레스로 인한 학생들의 우울증과 번 아웃이라는 현실 세계의 문제를 꼬집어 관객들에게 현재 교육 상태에 의문을 제기하게 만듭니다.
두려움과 순응이 억압하는 창의성
'세 얼간이'의 또 다른 핵심 주제는 두려움과 순응이 혁신을 어떻게 억압하는가입니다. 이 영화는 학생들이 자신의 이익을 탐구하기보다는 경직된 길을 따르도록 조건화된 시스템을 제시합니다. 엄격한 대학 총장인 비루 사하스트라부떼(Viru Sahastrabudhe), 즉 '바이러스'라는 별명으로 불리는 그는 교육 시스템의 이러한 측면을 구현합니다. 구시대적인 규칙을 강요하는 권위 있는 캐릭터로 나오며 독립적인 사고와 창의성을 저해합니다. 주인공 란초는 실패에 대한 두려움보다는 열정을 통한 학습을 주장함으로써 비루의 학습 방식에 반대합니다. 그의 유명한 좌우명인 "All Is Well"은 학생들이 불안으로 인해 혼선을 겪지 말고 호기심과 자신감을 가지고 교육에 접근해야 한다는 점을 잘 보여줍니다. 예를 들어 바이러스의 엄격한 원칙을 반박하는 것은 진정한 교육은 전통적인 규범에 무조건 따르기보다는 틀 밖에서 생각하는 것임을 보여줍니다. 이 영화는 부모의 기대가 어떤 문제점을 만드는지도 보여줍니다. 파르한의 아버지는 아들이 사진작가에 대한 진정한 열정에도 불구하고 그에게 공학자가 되라고 압박합니다. 이것은 개인적인 열망보다는 사회적 기대로 결정되는 직업에 갇혀 있다고 느끼는 자녀들에게 공감을 불러일으킵니다. 세 얼간이는 순응을 강요하기보다는 개인의 재능을 키우는 교육 시스템을 옹호하며 이러한 순환에서 벗어나기를 권장합니다.
주입식 교육을 넘어 열정과 창의성을 향해
세 얼간이의 궁극적인 메시지는 교육에서 열정의 중요성입니다. 이 영화는 학생들이 강요된 것보다는 진정으로 즐기는 학습을 추구할 때 가장 좋은 성과를 낸다고 말합니다. 란초의 성공 스토리는 학위나 칭찬을 쫓기보다 지식에 대한 열정을 따르고 결국 진정한 성공과 행복을 얻는다는 메시지입니다. 물질적 성공은 이루지만 성취감이 부족한 차투르와 달리 란초의 여정은 지식과 창의성을 진심으로 추구할 때 의미 있는 성과로 이어짐을 증명합니다. 아버지를 거스르고 사진작가가 되겠다는 꿈을 따르기로 한 파르한의 결정은 개인의 만족이 사회적 기대보다 더 가치 있음을 표현합니다. 이 영화는 또한 교육 개혁에 대한 설득력 있는 논거를 제시합니다. 대학은 단순히 높은 성적으로 졸업생을 배출하는 것이 아니라 비판적 사고, 혁신, 현실 세계의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는 데 집중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구시대적인 교육 모델의 제약에서 벗어나 더 만족스러운 삶을 살 수 있을 것입니다. 영화 세 얼간이는 교육자, 학생, 학부모 모두에게 깊은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영화로 남아 있습니다. 이 영화는 암기식, 압박 중심의 주입식 교육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적 메시지를 통해 패러다임 전환을 주장합니다. 암기보다는 이해를 중시하고 호기심을 조장하며 사회적 기대보다 개인의 꿈을 우선시하는 교육 시스템을 요구합니다.